리우's IT Story
article thumbnail
Published 2023. 4. 14. 17:26
DB 시작하기 spring 리마인드
728x90
반응형

테스트 -  상태 :  성공

 
 

db에 있는 정보를 이클립스에 띄우기 
 

day 07 만들기
초기작업 -> 
일단. 커넥션 객체 를 정해진 주소로 여러개 만들어 놓는다. 이 커넥션들을 돌려가며 풀을 만들어서 쓴다.
 
jsp는 tomcat - dbcp를 썻다 .데이터베이스 커넥션 풀 
 
쉽게 말하면 ArrayList<connection> pool;
 
spring에서 쓸때는  c3p0 (connection pool) 다른 라이브러리를 불러온다. 
 
xerces  =한글이있으면 못읽어오는예외 처리.
spring -jdbc
ojdbc.jar
c3p0  
 
우선 메이븐 리포지터리 검색.
 
xerces » xercesImpl - 2.12.2 
 

 
<org.springframework-version>4.3.30.RELEASE</org.springframework-version> 이태그안에 불러오는 값을 추가해준다.

 

 
 

 
 
 
 
servlet에 패키지이름 변경 

jsp에는 주소가 meta-inf에 web.xml에 들어가있었다.
 
 
스프링에서는 조금 다른방식을 쓴다.
 

 
 
 
 
스프링빈을 직접만들자.
 
jdbc와 c3p0를 이용한  db접속 설정 - 이빈의 이름은 datasource다. 
 
db를 접속할 수 있는데이터 소스를 만들어놓는다.
 

 
이까지 준비가 됐으면 . 기존의 HomeController를 지우고 새로만든다.

home.jsp
 

 remove spring project를누르면 마치maven프로젝트처럼 초기화된다.
 
다시 add spring project
 
 

접속이 정상적으로 됐다는의미
 
 

service를 autowired  home.jsp를 리턴
 

 
 

DB로 넘어가보자
 
 
 
먼저 테이블을 만들어주고 테이블에 맞는 시퀀스, 제약조건등을 걸어준다.

다시 spring 으로 넘어간다.
 
데이터를 받아줄 클래스를 만들어준다.
 
 
 

BookDTO

 
BookDTO, BookDAO, BookService,BookController를 전부 어노테이션 , autowired해준다.
스프링빈이 될 클래스들을 전부 만들었다.
 
 
오늘은 흐름을 보기위한 과정.
 
 
 

728x90
반응형
profile

리우's IT Story

@LRWoo

포스팅이 좋았다면 "좋아요❤️" 또는 "구독👍🏻"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