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rvlet 으로 구현하기
서비스 코드를 실행시키기 이전에 .
Action 패키지에 commandAction코드
다시 mvc패키지에 DispatcherServlet으로 돌아와서.
이후 web.xml로 이동
WEB-INF에 command.properties 파일을 만들어주고
IndexAction 클래스
BoardAction 클래스
WEB -INF에 view폴더를 만들고 index.jsp파일을 생성해준다.
구현완료!
작성된 코드가 너무 많아서 여기저기 오류.. 틀린그림찾기
패키지를 제대로 만들었는데 오류가 떴다.
이상하게 클래스이름을 똑같은 이름으로 다시수정해주니 서버가열리고 웹서버가 구현 된다..
실행되는 순서를 따라가기
Dispatcherservlet에서 init가 실행되면서
init의 역할 =
properties를 읽어서 주소와 클래스를 가져오고 클래스에 해당하는 객체를 생성하여 주소와 객체를 map에 저장한다.
service의 역할
-클라이언트가 요청을 수행하면 요청을 판별하여
-요청에 맞는 doGet 혹은 doPost 함수를 실행하고
-jsp의 이름을 문자열로 반환하여 해당 페이지로 포워딩한다.
절대 이코드를 다외우는게 아니고
스프링의 mvc2 방식을 자바코드로 억지로 비슷하게 구현해놓은 것 = 돌아가는흐름을 보기위해서
servlet은 상속을 엄청많이쓰고있다.
스프링이 이런 과정을 자동화시켜주는 것은 물론 , 스프링은 상속을 안쓰고도
똑같은 코드와 기능을 더빠르고 쉽게 쓸 수 있다.
이그림과 비교하면서 데이터가 전달되서 어떤식의 흐름으로 가는지 대략적인 방향만 파악해주면된다.
이글 설명 = jsp servlet을 이용해서 model2가 어떤식으로 구현되는지
끝